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한국은행 칼럼] 기후변화와 중앙은행의 자세

“욕조에 물을 계속 틀어놓은 것과 같다.”     팬데믹에도 2020년 지구 대기에는 510억t의 탄소가 순공급되었다. 이 추세로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한다면 지구의 평균 기온은 금세기 중반에 섭씨 1.5~3도, 세기말에는 4~8도 상승한다는 것이 일반적인 예상이다. 기후학에서 이 정도 기온 변화는 심각한 문제다. 가장 최근의 빙하기에 지구의 온도는 지금보다 평균 6도 낮았고 북극에 악어가 살던 시절에는 4도가 높았을 뿐이다.   기후변화가 인간의 활동 때문이라는 데 97%의 과학자가 동의한다. 제레미 다이아몬드는 인류의 위기와 대응을 다룬 ‘대변동’에서 앞으로 전세계가 함께 해결해야 할 네 가지 문제로 핵무기, 자원 고갈, 불평등과 함께 기후변화를 꼽았다. 가뭄, 홍수, 곡물생산 감소, 해산물 고갈, 열대성 질병의 온대 지역으로의 이동 등 앞으로 닥칠 파괴적 영향이 북극항로의 개통과 같은 긍정적 가능성을 압도한다는 것이다.   중앙은행의 역할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이번 코로나19 위기를 겪으면서 전통적인 ‘인플레이션 파이터’에서 ‘크라이시스 파이터’로 진화했다. 기후 변화처럼 일견 업무영역을 벗어난 것처럼 보이는 문제에 대해서도 책임과 역할이 기대되는 이유다. 기상재해와 재산손실과 같은 ‘물리적 리스크’ 이외에도 각국이 새로운 경제체제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비용이 상승하고 생산성은 하락하는 이른바 ‘이행 리스크’가 대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연준은 금융기관들의 기후변화 관련 금융리스크를 평가하고 금융시스템 전반의 대응방안을 마련할 전담조직을 작년에 설립했다. 최근 연준의 금융감독 담당 부의장 후보로 지명된 라스킨 교수는 이번 팬데믹 중에 정부가 석유, 가스 등 전통 에너지 기업에도 긴급대출을 지원한 점을 비판했다. 연준이 기후변화 기금을 조성하는 등 적극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혁신산업에서 더 많은 일자리가 창출되도록 할 것도 주문한다. 이를 통해 금융시장의 자금흐름과 기업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고 결과적으로 사회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럽의 중앙은행은 더욱 적극적이다. ECB는 금융안정 측면에서 기후대응을 위한 스트레스 테스트를 실시했고 기후변화를 통화정책의 고려사항에 포함시키기로 결정했다. 거시경제 전망에 기후정책의 영향을 포함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회사채 매입 프로그램(CSPP)에도 기후변화 리스크를 포함시킨다는 것이다. 앞으로 친환경 기업의 회사채 발행을 통한 자금 마련이 더 쉬워질 수 있다.   한국은행도 은행부문에 대한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를 이미 실시했다. 또한 국내 녹색채권(green bond) 발행규모가 아직 크지 않다는 제약조건이 있지만 친환경 부문으로 자금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대출제도 등의 활용을 검토중이다. 외환보유액 운용에 있어서는 친환경 기업 등 ESG 주식에 대한 투자규모를 확대해 왔고 녹색채권 등 ESG 채권을 꾸준히 매입하고 있다.   기후변화는 인류에게 닥친 거대한 숙제이지만 또한 미래성장동력을 확충하는 기회가 될 수도 있다. 모든 지구인의 현명한 대처가 필요한 때다. 언제나처럼 중앙은행은 안정과 발전을 위한 든든한 밑거름이 되어줄 것이다. 김 연 / 뉴욕사무소 과장한국은행 칼럼 기후변화 중앙은행 기후변화 기금 기후변화 관련 이행 리스크

2022-02-0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